예술학교게시판 썸네일형 리스트형 연극영화과 실력발휘 연극영화과 학생들~!! 지금 이 글을 읽는순간 바로 우는 연기를 해보세요~!!!라고 한다면 슬픈감정을 잡고 바로 우는 연기로 돌입할 수 있는 연극영화과 입시생들이 몇명이나 될까요? 때와 장소와 관계없이 실력발휘를 할 수 있는 친구들이 얼마나 될까요? 만약 지금 있는 그자리에서 바로 우는 연기를 할 수 있는 연극영화과 입시생이라면 짝짝짝 박수를 쳐주고 싶습니다. 시간&장소와 상관없이 연기를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연기에 재능이 많다는 것이며 실무적인 경험, 즉 무대경험이 많은 연극영화과 학생들이 분명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연극영화과를 지원하는 학생들이나 연극영화과에 관심있는 학생들이 장소&시간과 관계없이 연기를 잘하기 위해서는 어떻게해야 할까요? 무대경험 즉 실무적인 경험을 많이 할 수.. 더보기 실용음악과 컨디션 컨트롤 실용음악과 컨디션 컨트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용음악을 음악을 하는 학생들은 기계가 아니기 때문에, 때로는 컨디션이 안좋은 날에는 평소보다 노래실력이 안나올수가 있겠죠? 심지어 실용음악과 입시를 지원하는 학생들은 입시날에 컨디션 조절이 안된다면...그야말로... 상상하기도 싫죠...? 실용음악과를 지원하는 학생들 마음먹는다고 컨디션 조절이 잘 될까요??? 몸의 상태나, 기분은 실용음악과 학생들이 잘 컨트롤해야하는 요소중의 하나입니다.~!!!!!!! 컨디션 컨트롤을 잘하기 위해서는 어떻게해야 할까요? 음악을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대중들 앞에서 노래를하는 순간에 자신의 역량을 드러낼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죠. 그러기위해서는 무대경험과 실무적인 경험이 참 중요합니다. 무대경험이 많은 .. 더보기 실용음악과 습관 기르기- 2 이전에 실용음악과 습관 기르기 -1을 알아보았습니다. [실용음악과 습관 기르기 -1 ▶ http://gangnamsori.tistory.com/675 ] 오늘은 실용음악과 학생들이 어떠한 올바른 습관을 키워야하는지 알아보는 두번째 시간을 가져볼께요 :)★ 노래를 잘 부르기 위해서는 평소에 올바른 습관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 :)★ 실용음악과를 지원하는 학생들 모두다 알고계시겠죠? 오늘은 네번째 방법부터 실용음악과를 희망하는 학생들 or 실용음악과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께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네번째, 가사를 외울때, 가사에 담긴 의미를 느끼면서 외우시는 습관을 기르시기 바랍니다. 실용음악과 학생들은 예술을 하는, 감정을 리듬에 싫어 노래로 표현하는 사람이죠!? 이렇듯 노래 가사를 외울때도.. 더보기 실용음악과 습관 기르기- 1 실용음악과 습관 기르기 실용음악과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노래를 부를때 어떠한 올바른 습관을 갖추어야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세살버릇 여든까지간다"라는 속담처럼 실용음악과 입시생들이 노래를 잘 부르기위해서는 올바른 습관으로 노래연습을 해야합니다. 그렇다면 올바른 습관 기르기란 무엇을 뜻하는 걸까요? 어떻게 해야 바른 습관으로 노래를 부를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 자신의 노래를 녹음해 분석해본다. 음악은 눈으로 보이는 형체가 아니기때문에 노래를 부르면서, 자신이 실수한 부분,고쳐야할 부분들을 일일이 체크하지 못하고 넘어가죠. 다음에 같은 곡으로 연습 할때쯤, 또 이전과 같은 실수를 반복하게 됩니다. 연습을 일삼는 실용음악과 학생들에게 녹음의 중요성은 말하지 않아도 잘 알듯합니다. 실력을 업그레이드 .. 더보기 실용음악과 초심 다지기 실용음악과 초심 다지기 현재 2015년도 실용음악과를 입학할 예정인 학생들 혹은 추후 실용음악과를 입학하여 엔터테이너로써의 성장을 꿈꾸고 있는 학생들에게 중요한 것은 실력도 실력이지만, 앞으로 입시라는 역경에서 흔들리지 않으려면 자신에 대한 믿음, 꿈을 처음으로 가졌던 초심의 마음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실용음악과를 지원하는 학생들, 추후 고3이되면 내신+수능 신경을 써야하는 것은 물론이며, 실기까지 연습을 해야되죠? 예체능하는 친구들의 고통을 참으로 잘 알죠... 신경써야 할 것들이 공부만 목적으로하는 학생들보다 많은 것은 사실입니다. 실용음악과를 준비하는 학생들은 기계가 아니기때문에 입시를 준비하면서 때로는 포기하고싶고, 자신의 길이 아닌 것 같다며 실용음악과에 지원하는 것을 그만두는 경우가.. 더보기 실용음악과 새해 계획 2013년 12월 31일★ 2013년 마지막 날입니다. 실용음악과를 지원하는 학생들도 마찬가지로 새해를 맞이하게되겠죠? 새해를 맞이하게될 실용음악과 입시생들~!!! 한해동안 자신이 연습했던 곡들을 차례대로 정리하고, 다시 한번 연습해보는 시간을 갖길바랍니다. 알찬 2014년을 위해 실용음악과 학생들이 어떠한 새해 계획을 세워야하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내후년에 실용음악과를 입학할 학생들이나 실용음악과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것은 실용음악과에 들어갈 수 있는 실력을 키우는 것이겠죠? 1년이 짧다면 짧지만, 이 시간을 잘 활용한다면 입시에서 그리 짧은시간도 아닙니다. 입시전까지 남은 시간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새해 계획을 세워야겠죠? 스스로가 자신의 선생님이 되었다고 생각해보고 현실가.. 더보기 실용음악과 트렌드 파악 실용음악과 트렌드 파악 어느 분야에서든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는 것을 실용음악과 학생들은 익히 알고있을듯 합니다.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패션에서도 트렌드가 빠르게 돌아간다는 것처럼 말이죠.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트렌드 참 중요합니다. 실용음악과 관련된 분야에 서도 트렌드 절대 빼놓을 수 없죠. 국내 음악시장에서는 수없이 많은 음반들이 출시됐다 사라집니다. 우리가 흔히보는 TV 가요프로그램에서도 얼마 지나지 않아 가수들이 새로운 신곡을 갖고 발표를 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실용음악과 관련된 분야에서 음악적 트렌드가 빠르게 변한다는 것이며, 국내 실용음악의 흐름을 보여주는 것과 같죠. 그렇다면 실용음악과 학생들은 어떻게 실용음악을 배워야 할까요? 실용음악 분야에서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 더보기 실용음악과 엔터테이너의 역량이란? 실용음악과를 준비하는 학생들의 최종목표는 무엇인가요? 아마도 가수,작곡가 등 음악분야에서 엔터테이너가 되는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엔터테이너적이다라는 말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실용음악과를 지원하는 혹은 실용음악과에 관심있는 학생들이 실용음악 분야에서 엔터테이너적인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도 완벽하게 노래나 작사 작곡을 할 수 있어야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실용음악과 학생들이 엔터테이너적인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첫번째, 아직 실용음악과를 지원하는 학생들은 학생이지만 실전경험이 많이 필요합니다. 실전경험은 대중들이 많은 무대위에서 연습을 해보는 것이 될 수도 있고, 실제 기획사 연습생들을 트레이닝하는 기획사의 간부들이나 트레이너들 앞에서 오디션을 보는 방법도.. 더보기 실용음악과 태도와 자세 실용음악과 태도와 자세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입시경험이 없는 실용음악과 준비생들을 위해 어떠한 태도와 자세로 실용음악과 실기시험에 임해야하는지 알아보러 GOGO~★ 2014 실용음악과에 입학하게될 학생들은 현재 수험생들이겠죠. 낭랑 19세 :)★ 지금 이 순간에도 실용음악과 실기시험을 보고 있을듯 합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태도와 자세를 갖고 시험에 임해야 실용음악과 시험장에서 교수님들께 좋은 인상을 줄수 있을까요? 우선은 시험이기 때문에 진지한 자세가 실용음악과 태도와 자세에서 가장 기본이겠습니다. 원래 성격이 장난이 많다고해도, 자신의 앞길이 걸린 중요한 날인데 웃거나 성의없게 실용음악과 시험에 임한다면 당연히 좋은 인상을 받지 못하겠죠? 이렇게 되면 실용음악과 교수님들은 학생이 아무리 실력이 있다.. 더보기 실용음악과 인재상은 누구? 실용음악과 인재상에 대해 알아봅시다. 실용음악과에서 원하는 학생의 인재상은 어떤 학생일까요? 더 크게는 이시대가 원하는 실용음악분야에서의 인재상은 어떤 사람일까요? 실용음악과 입시생들은 그져 자신이 선택한 선곡을 심사위원들 앞에서 잘 부르는 사람이, 실수하지 않는 입시생이 실용음악과 교수님들이 원하는 인재상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용음악과 실기시험 에서 선곡을 실수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교수님들이 학생들을 높이 평가하는 것은 학생들의 재능, 즉 잠재력입니다. 입학한 학생이 실용음악과 수업을 잘 따라올 수 있을만한 기본적인 음악적 지식과 능력이 있는지, 교수님들이 학생들을 가르쳤을때, 배움을 받는 학생들이 얼마만큼 자신의 역량을 끌어올릴 수 있고 성장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더 중요시합.. 더보기 이전 1 ··· 61 62 63 64 65 66 67 ··· 112 다음